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

TIL- 221204 - 카카오 서드파티 로그인 이미지 트레이닝

오늘의 작업 목표 카카오 서드파티 로그인 구현하기

 

먼저 서드파티 로그인을 왜 구현을 해야할까?

 

  1. 비밀번호암호화, 회원가입시 유효성검사와 암호화 등 로그인과 회원가입기능에
    신경써야할 부분이 많기 때문에 로그인 API를 쓰면 로그인과 회원가입을 대신해 주기 때문에
    회원관리하기가 편해진다
  2. 유저입장에서도 회원가입절차가 줄어들어 사용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비즈니스용 프로그램이 아니기 때문에 내가 필요한 값인 배송지 정보나 회원의 전화번호 같은 정보들은 직접 입력을 받아야 하는 이슈가 있기는 하지만 나중에 실제 서비스에 서드파티 로그인을 구현할 떄는 배송지나 전화번호 같은 정보만 필수 동의를 받기만 하면 되니 카카오 로그인을 구현을 해보자.

 

전체 적인 프로세스 정리 

 

 

카카오 로그인 버튼 클릭 => 카카오 싱크를 통해 정보를 제공할 항목을 체크하여서 카카오 API서버에 넘긴다(authCode)  => 

전달받은 정보를 가지고 카카오 API 서버는 데이터를 식별하고 클라이언트가 인증에 성공한 데이터를 통해 로그인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토큰을 발급해 준다. => 우리는 이 토큰을 활용하면 된다~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kakaologin/common#intro-kakaologin

 

Kakao Developers

카카오 API를 활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보세요. 카카오 로그인, 메시지 보내기, 친구 API, 인공지능 API 등을 제공합니다.

developers.kakao.com

 

자세한 것은 카카오 디벨로퍼 사이트에서 카카오 로그인을 참고 하면 된다.

 

일단은 지금까지 구현한 것 까지만 하면 

 

 

1. 일단은 카카오 로그인을 등록할 프로젝트에 카카오 로그인을 등록을 해야한다.

 

 

 

 

 

내 어플리케이션에 들어가서 좌측 메뉴에 카카오 로그인이 있으니 로그인을 활성화 해주자.

 

그다음은 카카오 로그인을 눌렀을 때 이렇게 내 프로젝트에 제공할 정보를 선택하는 창을 주고 

 

사용자가 동의를 하고 난 뒤에 확인 버튼을 누르면 동의를 얻은 사용자의 정보를 authcode라는 것으로 쿼리스트링으로 전달을 해준다.

 

일단은 여기까지 했는데 정보를 내가 필요한 정보는 얻을 수가 없으니 현재는 

 

로그인을 하고 난 뒤에 => user의 정보를 들고 와서 유저의 상태를 줘서 만약 정식회원가입이 되어 있지 않다면 추가로 정보를 입력하는 

 

회원가입을 진행을 해야 할 것 같다. 

 

오늘은 코딩도장에서 하루밤 새면서 철야 코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