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

(133)
TIL-221021- 기능 리스트는 구체적으로 오늘의 금요 지식회 는 코드 리뷰에 관한 내용이 였다. 코드 리뷰가 좋다 라는 걸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아마 음.. 해야지 좋지... 라고 하지만 제대로 하지 못하는 이유는 조직원들끼리의 관계가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 좋은 문화를 들이고 싶으면 좋은 조직을 만들어라 조직원들끼리 친하지 않다면 아무리 좋은 걸 한다고 해봤자 흐지부지로 끝날 가능 성이 높다. 조직원들의끼리의 신뢰가 핵심이다. 코드 리뷰를 조직에 도입하고 싶고 테스트코드도 조직에 도입을 하고 싶다라는 마음이 있다면 처음 부터 코드 리뷰같은 거창한 것을 들이려고 하지 말자 첫 술에 배가 부를 순 없는 법이다. 조금 씩이라도 조직원들끼리 서로 피드백을 주고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먼저!. 이런 조직 문화가 만들어 진다면 코드 리뷰는 ..
TIL-221020- 데이터 베이스 정하기 근데이제 플로우를 곁들인 MYSQL 이란 무엇인가 표준 데이터베이스 질의어 SQL을 사용하는 개방 소스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 베이스란? 여러 응용 시스템이 공유할 수 있도록 통합 저장된 운영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한다. SQL이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표준화된” 언어이다. 즉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는데 사용이 되는 구조 질의어이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DBMS는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중재자로서 모든 프로그램이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활 수 있도록 관리해 주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목적은 데이터의 독립성? 데이터의 독립성에는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는 물리적 데이터의 독립성이 있다. MYSQL의 장점 ..
TIL-221019- 스프링, 리액트 쓰는 이유 어제 오늘 기술 스택을 정하면서 알아낸 것 은 결국 언어나 프레임워크끼리 기술적으로 비교우위를 가르는 것은 거의 불 가능 하다는 것이다. 모든 것을 가지고 있는 완벽한 언어라는 것은 없고 각자 장점과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단점이 엄청나게 치명적인 것은 딱히 없는 것 같고. 인기있는 언어나 프레임워크 경우 개인적인 기준으로는 5점 이내에 오차범위인 것 같다. 상황가정을 해보자 나는 spring을 쓰고 싶고 상대방은 python을 사용하고 싶다. 이유는 서로 1개의 언어 밖에 사용을 해보지 않아서이다. 그렇다면 생존을 위해서 자신이 사용할 줄 아는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할 것이다. 당연하다. 지는 쪽은 사실상 손가락만 빨다가 회사에서 쫒겨날 수도 있다. 그렇다면 무조건 이기는 필승법은 무엇일까?..
TIL-221018 언어 선택하기 기술 스택이란 어떻게 정해야 하는가. 오늘은 포트폴리오 백엔드 기술스택을 정하기 위해서 spring의 경쟁자들인 Phtyon의 django , Node.js , php laravel 이렇게 3개를 알아보았다. 다른 언어는 사용을 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내가 만드는 폴리폴리오는 이 언어를 사용해야 겠다라는 판단은 명확하게 내리기는 힘들다. 그리고 각각 언어들의 공식문서를 보면 어쩔 수 없이 자랑밖에 없기 때문에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블로그를 통해 각각 언어들에 대해 장점과 단점들에 대해서 찾아본 결과 완벽한 언어라는 것은 없다라는 것이다. 각각에 대해서 장점과 단점들이 다 있고 상황에 맞게 사용을 하는 것인데 현재 내 상황은 백엔드언어는 할 줄 아는 게 spring밖에 없으니 spring을 사용해야 ..
TIL-221017- 쉽지 않은 기능 리스트 뽑기 어제 다 못 끝냈던 UI를 그려보는 작업을 다 완료를 했다. 하지만 관리자 페이지쪽은 어떤 기능있는 것만 알고 해당 기능들이 정확히 어떤기능들을 하는것인지는 아직 명확하게 알지 못해 사실상 제대로 하지 못했다. 그래서 오늘은 스마트스토어 계정을 하나직접 관리자 페이지를 분석을 해봤는데 아쉬웠던 점은 실제로 판매가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판매와, 정산에 관련한 시스템은 어떻게 되는 지 알아내지 못하였다. 관리자 페이지의 경우 내가 실사용을 많이 사용하지 않은 도메인 이기 때문에 어떤 기능이 핵심기능인지 아직까지는 오락가락하는 상태이다. 일단은 내가 구현하고 싶은 기능은 가장 크게는 상품을 검색했을 때 네이버 처럼 네이버 랭킹순이라는 알고리즘으로 먼저 물품들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물품을 보여주는 알고리즘을 구..
눈뜨고 코베이는 서울살이 1일차 오늘은 레벨 테스트가 끝나는 날이였다. 아슬아슬하게 컴포넌트에 대한 단위 테스트를 모두 작성하고 운명의 시간인 2시를 맡이 할 수 있었다. 테스트를 작성하면서 모킹에 대해서 조금 익숙해 졌지만 page와 components에 대한 구조 분리를 하지 않아서 페이지는 단순히 렌더링만 해주는 형태로 작성된 형태였지만 페이지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compoenet안에 있는 것들을 모킹까지 해줘야 하는 이상한 구조를 발견할 수 있었다. 다음 부터는 페이지에서 props를 받아오는 형태로 컴포넌트를 만들어야 겠다. 그리고 오늘은 서울로 올라가야 하는 날이였어서 점검이 끝나고 바로 준비를 하고 부모님과 저녁식사를 한 뒤 8시 30분 울산에서 출발하는 KTX에 몸을 실었다. 조금 시간이 지체되어서 11시가 거의 다 되..
TIL-221013- jest에서 이미지 변환하는 법 벌써 2주가 쏜살같이 지나가 버렸다. 오늘이 레벨테스트의 마지막 날이다. 오늘의 목표는 컴포넌트 테스트를 모두 완료하는 것인데 아마 잠은 죽어서 자야할 것 같다. 오늘 한창 테스트 코드를 돌리는데 css를 적용한 이후로 이미지 때문에 테스트가 통과가 안 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미지 파일을 가져올 때 Jest는 이미지의 바이너리 코드를 .js로 해석하려고 하므로 오류가 발생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image또한 뭔가 모킹을 해줘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해결법 npm install -D jest-transform-stub jest는 자바스크립트가 아닌 다른 것은 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npm 패키지를 사용해서 자바스크립트가 아닌 이미지 파일이나 css를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난 뒤 jest.c..
TIL-221012 오늘 하루 요약 울산을 빨리 떠나야 하는 이유 '석계동원훈련장' , 탱크도 못 올라갈 것 같은 경사로를 1시간 쯤 걸어가야 사격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