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월 되고 2주차 다시듣는 5주차 강의 한 줄평 : 뭐야 이거? 2번째 다시 공부하는 것인데도 모르는 것 투성이 강의 난이도가 별반 차이 없이 어려운 것 같다. 그만 큼 5주차에 제대로 공부를 안 하고 스리슬쩍 넘어가버렸다는 뜻이겠지. 저번 주와 마찬가지로 일단은 강의를 한번 씩 본뒤에 코드를 따라서 쳐 보는 것이 오늘의 목표 이다. 확실히 코드를 처보면서 이해가 되는 부분도 있지만 이론적으로 모르는 것은 결국 코드를 처도 이해가 안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론 정리와 함께 실험이 필요한 것인 것 같다. 실험을 통해서 이론을 나만의 언어로 다시 정리 과정을 거쳐서 장기기억으로 변환을 해야한다.
이번주 강의의 마카오뱅크(단골 메뉴라 1주일에 1번은 무조건 나온다). 는 csv파일을 읽고 그 파일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과 함께 TDD가 이번주의 학습목표인데 오버라이딩, hashcode, 값 객체(Value Object) 동등성과 동일성 같은 어려운 개념이 나오고 이 개념들을 알기 위해서는 결국 메모리라는 개념이 있어야 하는 것 같다. 그래서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강의도 있었다. 이월 당하기 전에 5주차에서는 이 강의는 왜 있었는지 사실 별로 궁금해 하지도 않았고 그냥 그렇구나 했었는데 다 이유가 있구나.. 즉 5주차 이후 부터는 지역변수, 멤버변수, 객체, 프리미티브 타입 같은 것들이 메모리에 어떻게 저장이 되는 것인가 같은 것들을 알아야 했던 것.
반복문 조건문 만 배우면 사실 어떤 프로그램이든 찾아보면서 만들 수 있다고 한다. 그러면 우리가 객체지향이니 추상화니 하는 것들을 배우는 이유는 결국 코드를 잘 짜기 위해서 공부를 하고 있다. 하지만 내가 진짜로 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을까? 아직 절대적인 나의 코딩량이 부족하다는 것을 좀 생각이 들었던 하루 결국은 백문이 불여일타!
내일의 til은 내가 실험을 통해서 직접 좀 알게된 내용을 정리해서 업로드 하자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220711 (0) | 2022.07.11 |
---|---|
TIL-220710 참조타입과 기본타입 메모리 영역 (0) | 2022.07.10 |
TIL-220708 (0) | 2022.07.08 |
메가테라 3주차 주간회고 2.0 (0) | 2022.07.08 |
TIL-220707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