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

TIL-220804 소스트리는 무적이다 나는 무직이고

어제 퀘스트 과제를 진행하면서 requestBody의 내용을 가져와야 하는데 인코딩이 안되는 문제가 있어서 어떻게 해야하나 발만 동동구르다 동료의 도움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while문을 통해서 requestBody의 내용을 일일이 &로 이어 붙여 그 내용을 Map에 저장하는 식으로 방향을 잡았다. 어제 새벽에 일이라 오늘 일과 중 마카오뱅크 인출을 마치고 퀘스트 과제의 회원가입을 완료해서 push를 하려는데 

 

?.. 

뭔 소리고 일단은 이런 문제는 힌트도 주니까 구글에 검색하면 기본적으로 해결책이 나오기는 한다. 하지만 깃에 대해서 무지하니까 너무 무서운 것이다. git push -f 를 사용해서 강제로 push를 해주면 된다고 하는데 이 강제라는 말에 들어있는 공포 때문에 이 떄 까지 해놓은 거 다 날아 가는거아니여?... 라는 생각 때문에 좀 더 다른 방법을 찾아보다가 결국 30분의 시간이 의미없게 지나갔다. 

 

이럴 시간이 없다 빨리 퀘스트를 완료해야 겠다고 생각이 들어서 트레이너님에게 다이렉트 메시지를 보냈다. 다행히 금방 답장을 해주셔서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는데 

소스트리는 이런식으로 문제가 없는 상황이였는데 나는 계속 rebase를 할려고 했다... upstream/main이 loginRegister브랜치로 올라 와 야 문제가 해결될 줄 알았는데 저건 단순히 커밋을 쌓아놔서 앞으로 나간 것.. 

 

그래서 해결책은 무엇이냐 바로 구글에 검색해서 얻었던 해결책인 git push -f명령어를 사용을 하라고 트레이너님이 하셨다. 

지금 저 문제가 발생한 이유는 

origin의 loginRegister 브랜치의 커밋들이 내 가 사용하고 있는 로컬 깃의 loginRegister브랜치 커밋들이 달라서 생기는 문제였다. 

 

이런 상황이 발생하면 저렇게 소스트리의 그래프가 문제가 없으면 git push -f 옵션을 통해서 강제로 커밋을 바꿔서 push를 해주면 해결 이 된다. 앞으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문제라고 하니 이렇게 정리를 해놓은 게 좋을 것 같다. 

 

뭔가 문제가 생기면 확실히 질문을 해야지 지식이 늘기도 하고 시간도 아끼고 1석 2조의 이득이 생기는 것 같다. 

질문하기의 효과는 굉장했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